센터소식

Center News

관련기사


생명시스템학부 임종석 교수팀이 유방암 및 폐암에서 골수유래억제세포의 분화 및 면역억제기능을 조절하는 새로운 조절인자로 MITF 유전자가 관여함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왼쪽부터) 생명시스템학부 임종석 교수, 이아람 연구원

 

연구팀에 따르면 골수유래억제세포는 여러 자극에 의해 분화하지 못하고 면역억제기능을 유지하여 암의 진행을 유도하는 세포로 알려져 있다. 특히 종양미세환경에서 골수유래억제세포는 T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여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유도하고, 결국 암 환자가 좋지 않은 예후를 보이는데 크게 영향을 주는 세포 중 하나이다.

 

최근 골수유래억제세포를 표적하여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억제하는 병용치료요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마우스나 인체에서 골수유래억제세포만을 선별할 수 있는 마커가 불분명하고, 효과적으로 골수유래억제세포를 표적하는 것이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마우스에서 유방암과 폐암이 진행됨에 따라 다른 골수성 세포에 비해 특이하게 골수유래억제세포 내에서 MITF 발현이 증가하고, MITF 유전자 조절에 의해 골수유래억제세포의 분화 및 활성 정도가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골수유래억제세포의 MITF 억제에 의한 종양억제 및 T 세포 활성 증가를 동물모델에서 검증하였다. 폐암과 두경암 환자의 암 조직에서 MITF 양성 골수유래억제세포의 수가 림프절에 비해 증가되어 있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MITF의 발현은 동물모델뿐만이 아닌 암 환자의 골수유래억제세포에서도 중요한 기능을 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종양미세환경에서의 골수유래억제세포에서 MITF 발현이 T 세포의 활성억제에 관여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

 

이번 연구 결과는 기존 면역세포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MITF의 발현을 관찰하고, 골수유래억제세포를 표적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로서 MITF를 제시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관찰은 새로운 치료제, 특히 면역항암제와 함께 사용이 가능한 치료제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임종석 교수는 “향후 MITF를 표적 하는 저분자 물질을 개발함으로써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높이고, 적응증을 확대하거나 부작용을 줄이는 신개념의 의약품 개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암 면역치료 분야 최고의 저널 중 하나인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IF=12.485)에 지난 1월 10일 게재됐다.

(논문명 : Novel role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in modulating the differentiation and immunosuppressive functions of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관련링크: http://www.sookmyung.ac.kr/bbs/sookmyungkr/67/192545/artclView.do?layout=unknown

이전
[기사] 박종훈 교수 연구팀, 유전성 신장 질환인 다낭신의 새로운 마우스 모델 제시와 병리 기전 규명
다음
[기사]생명시스템학과 양영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 수상
목록